초기 패스워드는 옆에 적혀 있습니다. 유플러스 공유기는 접속하면 아래와 같이 나오게 됩니다.
로그인 한 첫 페이지에서, DDNS 설정 옆 톱니바퀴 버튼을 눌러 DDNS 설정 페이지에 들어갑니다.
DDNS는 바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개인 DDNS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해당 사이트에 가입해서 DDNS 주소를 받아야 합니다. iptime의 경우, 호스트이름.iptime.org 가 DDNS로 무료로 설정된다고 합니다.
아쉽게도 저는 iptime을 사용하고 있지 않으므로, 새로 가입하였습니다. 다른 것은 사용해보지 않았고,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no-ip.com 에서 가입했습니다.
Free Dynamic DNS - Managed DNS - Managed Email - Domain Registration - No-IP
Currently an Oracle Dyn Remote Access Customer? If Oracle Dyn will no longer be offering your service, is requiring you to move to their cloud service, or if you're simply looking for a change, we have a solution for you. Make the switch! Stay Connected Our Dynamic DNS solution makes it easy to remo...
no-ip.com
30일마다 접속을 해서 갱신해야 한다는 말이 있던데, 만약 접속이 안 된다면 로그인해서 이 계정을 계속 사용하고 있음을 확인해주면 될 것 같습니다.
어렵지 않기에 방법만 간단하게 소개하겠습니다.
no-ip 가입 (gmail로 가입 추천 : 다른 이메일은 등록이 잘 안 되더군요)
→ Activate Account
→ Create Hostname
→ DUC 설치 (계정 페이지 → Dynamics DNS → Dynamic Update Client → Download DUC)
→ DUC 실행 및 로그인 (Username에 이메일을 넣어도 로그인 됩니다. 로그인 안 된다고 당황하지 마세요)
On this page, you will download the most recent version of the software's Windows version.
먼저, ModelSim은 Windows 11에서 지원하지 않습니다. 또한 ModelSim은 업데이트가 종료되고 Questa가 새로 릴리즈되었습니다. ModelSim에서 지원하지 않았던 OVM / UVM 용 SystemVerilog 또한 지원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우리는 Individual Files에서 Questa*-Intel® FPGA and Starter Editions를 설치할 겁니다.
**설치 경로에 한글이 있으면 안 됩니다!!**
아마 다운 받아서 설치하고 나면, 실행이 안 될 겁니다 (?)
대부분 환경 변수가 설정이 안 되어 있어서 그렇습니다.
환경 변수 설정을 위해서는 먼저 License 데이터가 필요합니다. 아래에 intel에서 제공한 환경변수 설정을 위한 license 발급 방법이 나와 있습니다. 따라가 보도록 하죠.
First, ModelSim is not supported on Windows 11.In addition, ModelSim is no longer updated and Questa has been newly released.It also supports SystemVerilog for OVM/UVM, which was not supported by ModelSim. So we're going to installQuesta*-Intel® FPGA and Starter Editionsin Individual Files.
Maybe after installing it like this, it won't work (?).
This is because environment variables are not set.
License data is first required to set environment variables.Below is how to issue licenses for setting environmental variables provided by intel.Let's try to catch up.
1. Go to the Intel® FPGA Self-Service Licensing Center (SSLC).
이 작업을 위해서는 먼저 Intel에 가입해야 합니다.
가입하고 동일한 메일 계정으로 MS account도 들어가줍니다 (Azure Cloud를 사용해서 그런가 봅니다)
You must first subscribe to Intel for this task.
Sign up and enter the MS account with the same mail account (maybe it's because I use Azure Cloud)
2. Select the Sign up for Evaluation or Free Licenses option on the menu bar.
최신 화면은 아래와 같이 뜨는데, Sign up for Evaluation or No-Cost Licenses를 클릭합니다.
The latest screen appears as follows, and click Sign up for Evaluation or No-Cost Licenses.
3. In the list of products displayed, select the Questa* Intel® FPGA Starter Edition SW-QUESTA option.
Questa* Intel® FPGA Starter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이 친구의 License가 SW-QUESTA입니다.
Choose Questa* Intel® FPGA Starter.His license is SW-QUESTA.
4. Under the # of Seats column, enter the number of seats you require. 5. Read the license terms of use. 6. Select the "I have read and agree to the terms of use of this license as listed below" check box.
7. Click Get License. A popup window displays asking you to which computer should the license be assigned. You can use one of the following options:
Option 1: Click Create a New Computer if you want to assign the license to a new computer. You must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required hardware and license type. For information about the license type, refer to Intel® FPGA Software License Types. For information about how to extract information about your computer hardware, refer to Hardware Information Required When You Request a License.
Option 2: Click Assign an Existing Computer and search for the computer name/NIC ID that you have created previously in your My Intel® account. To view your list of computers, use of the following options:
Visit the License Assistant and select Regenerate License by Primary Computer > View all computers and select.
On the SSLC menu bar, click Computers and License Files and select the desired option.
License를 만들 때 컴퓨터를 등록해야 합니다. 아래와 같은 창인데, 컴퓨터 이름은 계정 이름으로 해주시면 됩니다.
License Type은 개인 컴퓨터라면 FIXED를 추천드립니다.
Computer Type은 NIC ID를 추천드립니다 (Network Interface Card).
Primary Computer ID에 ipconfig /all (명령 프롬포트에 입력하면 나옵니다)로 확인할 수 있는 마지막 문단의 물리적 주소를 - 없이 알파벳과 숫자만 연속해서 입력해주면 됩니다.
You must register your computer when you create the license.It's the window below, and the computer name can be the account name.
For License Type, FIXED is recommended for personal computers.
Computer Type recommends NIC ID (Network Interface Card).
In the primary computer ID, enter the physical address of the last paragraph, which can be identified asipconfig /all, in succession, and only the alphabetic and numeric characters.
8. Click Generate. You receive an email with the license attached to your registered email address.
9. Save the license.dat file on your computer (for example, ~/intelFPGA_pro/LR-xxxxxx_License.dat).
위 과정을 전부 마무리하면 메일로 라이센스 데이터가 나옵니다! 그 파일 다운로드 받아주세요.
When you complete all of the above process, you will get license data by mail!Please download that file.
이렇게 라이센스 LR-xxxxxx_License.dat 파일을 Questa 설치를 했던 폴더에 넣고 윈도우에 시스템 환경 변수라고 검색을 하면 시스템 속성\고급\환경 변수가 바로 나옵니다. 먼저 LM_LICENSE_FILE 이름의 시스템 변수가 있는지 먼저 확인해주세요. 그 후에 시스템 변수(S)에 새로 만들기(W)를 하셔서
변수 이름은 LM_LICENSE_FILE
변수 값에는 라이센스 파일 경로를 입력해주면 됩니다.
제 경우에는 이렇습니다
C:\intelFPGA\LR-******_License.dat (*에는 파일 이름 그대로 입력해주세요)
환경변수 설정을 다 하고 Questa를 다시 실행해 보면, 아래와 같이 잘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When you place the license LR-xxxxxx_License.dat file in the folder where Questa was installed and search Windows forSystem EnvironmentVariables, theSystem Properties\Advanced\Environment Variablesappear immediately. First, please check if there is a system variable named LM_LICENSE_FILE. After that, make a new (W) in the system variable (S).
Variable name is LM_LICENSE_FILE
For variable values, you can enter the license file path.
In my case, it's like this.
C:\intelFPGA\LR-****_License.dat (* enter the file name as it is)
If you complete setting the environment variables and run Questa again, you can see that it appears well as below!
완전한 전원off + 유선 LAN 연결이 없는 상태에서 gram 노트북을 전원 on 하는 것은 아직 불가능한 것으로 파악됩니다. 혹여나 새로운 방법이 생겼다면 메일 주시면 감사할 것 같습니다. 일반적인 노트북(17~21년식 노트북), 개인 와이파이가 있는 일반적인 상황을 가정하고 작성하였습니다.
먼저, WOL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시작합시다.
웨이크 온 랜(Wake-on-LAN, WOL)은 네트워크 메시지를 보냄으로써 컴퓨터의 전원을 켜거나 절전 모드에서 깨어나게 하는 이더넷 컴퓨터 네트워킹 표준이다. 와이파이를 통해 통신하여 컴퓨터를 깨우려면 WoWLAN(Wake on Wireless LAN)이라는 부가 표준을 이용하여야 한다. from 위키백과
노트북 무선 WOL 설정은 3단계로 이루어집니다.
1. 노트북(PC) 설정
2. BIOS 설정
3. 공유기 설정
1. 노트북(PC) 설정
윈도우키를 눌러 작업표시줄 검색창에서 '장치 관리자'를 입력합니다.
2가지를 설정해줘야 하는데, 먼저 노트북의 무선 LAN 카드를 찾습니다.
'19 LG gram 노트북 기준, Intel® Wireless-AC 9560입니다.
'장치 관리자 → 네트워크 어댑터 → 무선 LAN 카드 → 오른쪽 클릭 속성 → 고급, 전원 관리'에 들어갑니다.
'고급'에서 Wake on, WoWLAN 설정은 전부 Enabled(활성화함)으로 변경합니다.
또한, '전원 관리'에서 '이 장치를 사용하여 컴퓨터의 대기 모드를 종료할 수 있음(O)'과 '매직 패킷에서만 컴퓨터의 대기 모드를 종료할 수 있음(N)'을 클릭해서 활성화해야 합니다.
노트북 무선 LAN 카드 설정
이렇게 노트북 설정을 마쳤습니다.
2. BIOS 설정
먼저 노트북(PC) 전원을 켜서 BIOS 설정에 진입합니다.
'19 LG gram 노트북 기준,F2키를 누르면 BIOS 설정에 진입합니다.
(제 노트북의 경우, WOL 설정이 없었습니다. BIOS 설정 : Aptio Setup Utility '2018)
어떤 것을 설정해야 하는지는 BIOS마다 다르기 때문에 일반적인 설정을 설명하면,
'Wake on PCI(Lan, PCIE) ~ '나 'PCI Devices Power On'과 같은 Lan, PCI 설정을 Enabled(활성화함)으로, 'LAN Power Under ~ '나 PME 관련 설정을 Enabled(활성화함) 또는 LAN Power On으로 바꾸어 주면 됩니다.
이렇게 BIOS 설정을 마쳤습니다.
3. 공유기 설정
먼저, 공유기 설정 페이지에 진입합니다.
공유기 설정은 공유기 뒷면 혹은 옆면에 'AP 설정 웹 페이지' 주소를 웹에 입력해서 들어가면 됩니다.
초기 패스워드는 옆에 적혀 있습니다. 유플러스 공유기는 접속하면 아래와 같이 나오게 됩니다.
로그인 한 첫 페이지에서, Wake On Lan 설정 옆 톱니바퀴 버튼을 눌러 WOL 설정 페이지에 들어갑니다.
WOL 설정을 하고자 하는 노트북(PC)의 MAC 주소를 입력합니다.
현재 접속된 PC의 MAC 주소로 설정하면 편합니다. 다만, 현재 접속한 기기의 MAC 주소를 정확하게 알고 싶으시다면, 윈도키를 눌러 작업표시줄 검색창에서 'cmd 혹은 명령 프롬포트'를 입력합니다.
뜨는 창에 'ipconfig/all'을 입력합니다. 그중 노트북 설정(1번)에서 설정한 무선 LAN 카드를 찾습니다. 그 무선 LAN 어댑터의 물리적 주소가 MAC 주소입니다!
iptime 등 타 공유기의 경우, WOL 설정 항목에 들어가서 WOL 설정을 전부 '활성화함'으로 바꾸면 됩니다.
이제, 외부 네트워크에서 공유기 설정 페이지에 들어올 수만 있다면 원격으로 노트북의 전원을 켤 수 있습니다.
공유기의 WOL 설정을 마쳤습니다.
다음으로, 네트워크 설정 → 세부 설정 →원격제어 에 들어갑니다. 사용함으로 바꿔주고, 포트는 바꿀 필요 없습니다. 페이지 아래에 설정 적용 누르는 거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네트워크 설정 → 세부 설정 →DDNS 에 들어갑니다.
해당 내용은 고정 IP를 사용하는 공유기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다양한 이유 혹은 에러 때문에 유동 IP를 사용하는 저는 DDNS 주소를 추가적으로 필요로 했습니다. DDNS를 사용하는 이유는, 공유기의 외부 IP 주소를 사용하여 공유기 설정 페이지에 접속해야 하는데, 공유기의 외부 IP가 계속해서 변하기 때문에 주소를 매번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애기 위함입니다. 해당 내용은 아래의 추가적으로 포스팅해두었으니, DDNS 설정 포스팅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