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 패스워드는 옆에 적혀 있습니다. 유플러스 공유기는 접속하면 아래와 같이 나오게 됩니다.
로그인 한 첫 페이지에서, DDNS 설정 옆 톱니바퀴 버튼을 눌러 DDNS 설정 페이지에 들어갑니다.
DDNS는 바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개인 DDNS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해당 사이트에 가입해서 DDNS 주소를 받아야 합니다. iptime의 경우, 호스트이름.iptime.org 가 DDNS로 무료로 설정된다고 합니다.
아쉽게도 저는 iptime을 사용하고 있지 않으므로, 새로 가입하였습니다. 다른 것은 사용해보지 않았고,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no-ip.com 에서 가입했습니다.
Free Dynamic DNS - Managed DNS - Managed Email - Domain Registration - No-IP
Currently an Oracle Dyn Remote Access Customer? If Oracle Dyn will no longer be offering your service, is requiring you to move to their cloud service, or if you're simply looking for a change, we have a solution for you. Make the switch! Stay Connected Our Dynamic DNS solution makes it easy to remo...
no-ip.com
30일마다 접속을 해서 갱신해야 한다는 말이 있던데, 만약 접속이 안 된다면 로그인해서 이 계정을 계속 사용하고 있음을 확인해주면 될 것 같습니다.
어렵지 않기에 방법만 간단하게 소개하겠습니다.
no-ip 가입 (gmail로 가입 추천 : 다른 이메일은 등록이 잘 안 되더군요)
→ Activate Account
→ Create Hostname
→ DUC 설치 (계정 페이지 → Dynamics DNS → Dynamic Update Client → Download DUC)
→ DUC 실행 및 로그인 (Username에 이메일을 넣어도 로그인 됩니다. 로그인 안 된다고 당황하지 마세요)
1. RunPod에서 Pod을 먼저 실행해야 합니다. 컨테이너가 실행이 안 되어 있으면 scp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2. RunPod과 ssh로 연결되어 있는 기기에서 cmd나 powershell 등의 터미널을 하나 엽니다.
3. 아래의 스크립트를 상황에 맞추어 터미널에 입력하여 사용합니다.
터미널에 적여 있는 포트 번호나 도메인 주소는 RunPod 컨테이너에 ssh를 사용하여 연결할 때 썼던 숫자들을 그대로 다시 사용하면 됩니다. 아래 스크립트의 첫 번째 파일 주소는 다운로드를 원하는 파일 주소이며, 두 번쨰 파일 주소는 다운로드를 받을 위치를 의미합니다.
# 로컬 컴퓨터로 파일 다운로드
scp -P PORT_NUM -i ~/.ssh/id_ed25519 root@DOMAIN:FILE_PATH DOWNLOAD_PATH (YOUR COMPUTER PATH)
# 로컬 컴퓨터로 폴더 다운로드
scp -P PORT_NUM -i ~/.ssh/id_ed25519 -r root@DOMAIN:FILE_PATH DOWNLOAD_PATH (YOUR COMPUTER PATH)
# RunPod 컨테이너로 파일 업로드
scp -P PORT_NUM -i ~/.ssh/id_ed25519 FILE_PATH (YOUR COMPUTER PATH) root@DOMAIN:DESTINATION_PATH
# example (로컬 컴퓨터로 파일 다운로드)
scp -P 13111 -i ~/.ssh/id_ed25519 -r root@123.141.122.13:/workspace/TensorRT-LLM/examples/gemma/NSYS1 C:\Users\klue\downlo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