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Content: 윈도우 터미널 항상 관리자 권한으로 여는 방법

Updates: 2024.09.09

 

Windows에서 터미널을 항상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려면 다음 단계를 따르세요:

  1. 시작 메뉴에서 터미널 찾기:
    • 시작 메뉴를 열고 '터미널'을 검색합니다.
    • 검색 결과에서 '터미널' 아이콘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합니다.
  2. 설정 열기:
    • 파일 위치가 열리면, '터미널' 바로 가기를 다시 우클릭하고 '속성'을 선택합니다.
  3. 이 프로필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설정:
    • '설정' 창에서 '기본값' / '이 프로필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옵션을 체크하고 '저장'을 누릅니다.

 

외부 공유하실 경우, 출처 반드시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꾸욱 부탁드립니다👍

반응형
반응형

Update: 2024. 08. 02

Contents: V3 광고 제거 방법

 

AhnLab V3 Lite는 무료 프로그램이기에 저도 지금까지 광고 제거가 유료인 줄 알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무료이고 생각보다 간단하더군요.

 

V3 들어가셔 아래 톱니바퀴 (환경설정)

환경설정 안에서 기타 설정/사용환경/알림 설정/30일간 광고 보지 않기 체크해서 적용 및 확인 눌러주시면 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꾸욱 눌러주세요👍

반응형
반응형

Contents : MS Word, page mergeformat 오류 해결 방법

호완성이 맞지 않는 파일을 열거나 버전이 맞지 않을 때 주로 발생합니다.

해당 프로그램으로 작성한 파일에서도 같은 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일종의 깨짐 현상과 비슷한 것 같습니다.

해당 오류는 페이지 번호가 숫자로 나타나지 않고 필드 코드로 표시되는 오류보다는 다른 표시형태에 가깝습니다.

해결방법은 간단합니다

  1. 상단 파일 - 옵션 - 고급 - 문서 내용 표시
  2. 그 중 "값 대신 필드 코드 표시(F)"를 체크 해제합니다.

빈칸으로 만들고 확인 누르면 바로 적용됩니다.

간단하죠?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및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궁금한 내용은 댓글 또는 메일로 주시면 됩니다.

본 게시물을 사용하여 무단으로 영리행위를 하는 것을 금합니다.

무단 수정, 무단 배포를 금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상 : 외부 네트워크에서 와이파이 공유기 설정 페이지에 접속하고 싶으신 분

사용 기기 : LG유플러스 공유기(GAPM-7100)

내용 : 와이파이 공유기 DDNS 설정하기

 

이전 포스팅에서 노트북의 WOL 설정을 다루었습니다.

https://klue.tistory.com/2

 

[IT팁] 노트북(gram) WOL 설정하기

내용 : 노트북(무선 LAN을 설정한 PC)에서 한 대의 공유기로 WOL을 설정 = 유선 LAN을 연결하지 않고 노트북을 와이파이만으로 깨우고 싶은 분 = 외부 네트워크에서 노트북을 원격으로 깨우고 싶은

klue.tistory.com

 

 

​이제 공유기의 IP 주소가 바뀌는 일이 발생하여도 공유기 설정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도록 DDNS 설정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공유기 설정 페이지에 진입합니다.

공유기 설정은 공유기 뒷면 혹은 옆면에 'AP 설정 웹 페이지' 주소를 웹에 입력해서 들어가면 됩니다.

GAPM-7100 기준 http://192.168.219.1 입니다.

초기 패스워드는 옆에 적혀 있습니다. 유플러스 공유기는 접속하면 아래와 같이 나오게 됩니다.

로그인 한 첫 페이지에서, DDNS 설정 옆 톱니바퀴 버튼을 눌러 DDNS 설정 페이지에 들어갑니다.

DDNS는 바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개인 DDNS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해당 사이트에 가입해서 DDNS 주소를 받아야 합니다. iptime의 경우, 호스트이름.iptime.org 가 DDNS로 무료로 설정된다고 합니다.

아쉽게도 저는 iptime을 사용하고 있지 않으므로, 새로 가입하였습니다. 다른 것은 사용해보지 않았고,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no-ip.com 에서 가입했습니다.

Free Dynamic DNS - Managed DNS - Managed Email - Domain Registration - No-IP

Currently an Oracle Dyn Remote Access Customer? If Oracle Dyn will no longer be offering your service, is requiring you to move to their cloud service, or if you're simply looking for a change, we have a solution for you. Make the switch! Stay Connected Our Dynamic DNS solution makes it easy to remo...

no-ip.com

30일마다 접속을 해서 갱신해야 한다는 말이 있던데, 만약 접속이 안 된다면 로그인해서 이 계정을 계속 사용하고 있음을 확인해주면 될 것 같습니다.

어렵지 않기에 방법만 간단하게 소개하겠습니다.

no-ip 가입 (gmail로 가입 추천 : 다른 이메일은 등록이 잘 안 되더군요)

→ Activate Account

→ Create Hostname

→ DUC 설치 (계정 페이지 → Dynamics DNS → Dynamic Update Client → Download DUC)

→ DUC 실행 및 로그인 (Username에 이메일을 넣어도 로그인 됩니다. 로그인 안 된다고 당황하지 마세요)

→ DUC 전부 정상적으로 확인되는지 체크 (기다렸다가 3개의 체크표시 뜨면 끝)

설명이 다소 어렵게 느껴진다면 아래 유투브를 참고하면 될 것 같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1eeMxhpT868 Create Hostname 까지

https://www.youtube.com/watch?v=gNWuYJs3suY&t=1s DUC 설명

가입을 완료했다면, DDNS 설정 페이지에 해당 내용을 넣어주기만 하면 됩니다! 저장 잊지 마세요!

출처 : 본인

본 게시물을 사용하여 무단으로 영리행위를 하는 것을 금합니다.

무단 수정, 무단 배포를 금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Update : 24.07.07

Content : Vim 9.1 기준

 

https://julian-dev.tistory.com/1

 

Vim, gvim 설치 및 .vimrc 설정

Ubuntu를 설치하고 먼저 했던 일이 vim을 설치하고 vimrc를 설정했던 것 같다.학교 다닐 때는 거의 windows 환경에서 작업을 했기 때문에 vim editor를 쓸 일이 없었다.물론, windows용 vim editor도 있긴 하지

julian-dev.tistory.com

https://medium.com/sunhyoups-story/vim-%EC%97%90%EB%94%94%ED%84%B0-%EC%9D%B4%EC%81%98%EA%B2%8C-%EC%82%AC%EC%9A%A9%ED%95%98%EA%B8%B0-5b6b8d546017

 

vim 에디터 이쁘게 사용하기

.vimrc 편집을 통해 vim 에디터의 모습을 바꿔봅시다

medium.com

https://m.blog.naver.com/onevibe12/222003789290

 

 

https://www.vim.org/download.php

 

download : vim online

Downloading Vim Vim is available for many different systems and there are several versions. This page will help you decide what to download. Most popular: Details and options for: Mirrors Alternative sites to download Vim files from. Sources Build Vim your

www.vim.org

 

 

다운로드 64비트 인스톨러

 

리눅스의 경우 

sudo apt-get install vim

 

 

해당 칸 체크해줘야 파워 쉘에서도 vi 사용 가능

C:\Windows에 .bat 파일이 있어야 명령어 사용 가능

copy C:\Windows \vim.bat C:\Windows\vi.bat 로 vi만 쳐도 vim이 실행되게 해보자

 

영어로 변경하고 싶다면 C:\Program Files (x86)\Vim\vim90\lang 폴더를 삭제하자.😑

삭제하지 않고 변경하려면 관리자 권한으로 vi C:\Program Files (x86)\Vim\_vimrc (혹은 Vim 설치 경로에서 _vimrc 파일을 찾아보자, 필자의 경우에는 D:\Vim\이다)

를 실행하고 첫 줄에 language messages enCopy to clipboard를 추가하자.
vi 실행후 :e $VIM/_vimrcCopy to clipboard로 열어도 된다.

 

https://meganad.github.io/2020-07-10-powershell-cmd-vi/#download-vim

 

Powershell, Cmd 에서 Vi 사용

요즘 윈도우즈 터미널을 써보고 있는데, 여러가지 면에서 꽤 편리하다. WSL도 그렇고 점점 개발을 위해 맥을 사야할 이유가 줄어드는것 같다. 그런데, Powershell이나 cmd 를 사용하다보면 가끔 vi 가

meganad.github.io

 

 

$ vi _vimrc

 

윈도우 클립보드를 이용한 복사 및 붙이기

"+$COMMAND

"+8yy 8개의 라인을 복사해서 윈도우 클립보드에 저장하라

ggVG"+y 전체 파일 내용 복사

"+p 윈도우 클립보드에 저장된 내용을 vim에서 붙여넣으라

 

https://m.blog.naver.com/weekamp/221863691208

 

gVim 에디터 - 윈도우용 Vim(빔) 설치 및 사용 방법

gVim 에디터 - 윈도우용 Vim(빔) 설치 및 사용 방법 윈도우용 Vim 에디터를 설치하고 사용하는 방법을 ...

blog.naver.com

 

 

# _vimrc 수정

" Syntax Highlighting
if has(“syntax”)
    syntax on
endif

 

" 은 _vimrc에서 주석을 의미한다

 

https://github.com/naver/d2codingfont

 

GitHub - naver/d2codingfont: D2 Coding 글꼴

D2 Coding 글꼴. Contribute to naver/d2codingfont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Ver 1.3.2 (2018.06.01 배포)

 

https://github.com/naver/d2codingfont/releases/download/VER1.3.2/D2Coding-Ver1.3.2-20180524.zip

 

~\Downloads\D2Coding-Ver1.3.2-20180524\D2CodingAll\D2Coding-Ver1.3.2-20180524-all.ttc

파일을 클릭하자

설치하면 끝!

 

 

반응형
반응형

Update : 24.07.02

1. 다른 shell로 서버의 .vscode-server 폴더 삭제

 

그래도 안 된다면,

2. htop에 있는 vscode 관련 프로세스 kill

 

그래도 안 된다면,

3. 확장의 SSH 삭제 후 재설치

반응형
반응형

update : 2024.06.15

 

아래와 같이 repository 이름을 owner 이름과 동일하게 만들어주시면 되고,

반드시 Add a README file 추가해주시길 바랍니다.

그럼 아래와 같이 첫 멘트를 담은 README.md가 만들어집니다!

 

입맛에 맞추어 코드를 수정해서 profile에 들어가면 아래와 같이 표시됩니다!

 

이렇게 README.md에 들어간 내용이 profile 상단에 노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Update : 2024.05.04

Content : RunPod에서 원하는 이미지로 GPU Pod 만들기

                 Use the other docker image on RunPod

 

1. 먼저 Deploy 페이지에 들어갑니다 Go to the Deploy page

https://www.runpod.io/console/deploy

 

2. GPU나 CPU를 선택해줍니다 Select GPU or CPU

 

3. Change Template

- 만약 원하는 템플릿이 없을 경우, 원하는 이미지로 템플릿을 생성합니다.

-  If there is not what you want, go Templates.

- 생성하기 위해 아래의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https://www.runpod.io/console/user/templates

nvidia/cuda:12.1.0-devel-ubuntu22.04 example

 

4. 다시 1번부터 동일한 절차를 반복하고 Change Template에서 원하는 템플릿을 선택합니다.

    Return Change Template and select the image which you want

 

5. Edit Template로 돌아와서 반드시 Container Start Command를 추가합니다. 

    Go Edit Template and MUST ADD Container Start Command

 

아래 보여지는 문구가 Container Start Command입니다.

해당 커맨드와 함께 실행하는 까닭은 해당되는 docker image에 ssh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 바로 원격 접속하여 사용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bash -c 'apt update;DEBIAN_FRONTEND=noninteractive apt-get install openssh-server -y;mkdir -p ~/.ssh;cd $_;chmod 700 ~/.ssh;echo "$PUBLIC_KEY" >> authorized_keys;chmod 700 authorized_keys;service ssh start;sleep infinity'

 

 

6. Container Disk와 Volume Disk의 사이즈를 적절하게 조절합니다.

    Change Container Disk and Volume Disk size

 

- Container disk는 매번 실행할 때마다, 다시 말해 중지하고 다시 실행할 때마다 초기화되는 일시적인 저장소의 크기를 의미합니다. 이는 파이선의 라이브러리와 캐시 등을 포함합니다.

- Volume disk는 at /workspace에 저장된 영구적인 저장소의 크기를 의미합니다.

 

- Container disk is temporal storage including python libs and caches.

- Volume disk is persistant storage which is stored in /workspace.

 

7. Set Overrides하고 모든 것이 잘 설정되었다면, Deploy On-Demand하여 마칩니다.

    Click Set Overrides and Deploy On-Demand if everything is fine.

 

Reference : https://docs.runpod.io/pods/configuration/use-ssh

반응형
반응형

Update : 2024.05.01

Content : RunPod을 사용할 때 scp를 사용하여 로컬 컴퓨터와 파일을 다운로드 / 업로드 하는 방법

 

Reference : https://docs.runpod.io/pods/storage/transfer-files-with-scp

 

Transfer files with SCP | RunPod Documentation

Prerequisites

docs.runpod.io

 

1. RunPod에서 Pod을 먼저 실행해야 합니다. 컨테이너가 실행이 안 되어 있으면 scp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2. RunPod과 ssh로 연결되어 있는 기기에서 cmd나 powershell 등의 터미널을 하나 엽니다.

3. 아래의 스크립트를 상황에 맞추어 터미널에 입력하여 사용합니다.

    터미널에 적여 있는 포트 번호나 도메인 주소는 RunPod 컨테이너에 ssh를 사용하여 연결할 때 썼던 숫자들을 그대로 다시 사용하면 됩니다. 아래 스크립트의 첫 번째 파일 주소는 다운로드를 원하는 파일 주소이며, 두 번쨰 파일 주소는 다운로드를 받을 위치를 의미합니다.

# 로컬 컴퓨터로 파일 다운로드
scp -P PORT_NUM -i ~/.ssh/id_ed25519 root@DOMAIN:FILE_PATH DOWNLOAD_PATH (YOUR COMPUTER PATH)

# 로컬 컴퓨터로 폴더 다운로드
scp -P PORT_NUM -i ~/.ssh/id_ed25519 -r root@DOMAIN:FILE_PATH DOWNLOAD_PATH (YOUR COMPUTER PATH)

# RunPod 컨테이너로 파일 업로드
scp -P PORT_NUM -i ~/.ssh/id_ed25519 FILE_PATH (YOUR COMPUTER PATH) root@DOMAIN:DESTINATION_PATH

# example (로컬 컴퓨터로 파일 다운로드)
scp -P 13111 -i ~/.ssh/id_ed25519 -r root@123.141.122.13:/workspace/TensorRT-LLM/examples/gemma/NSYS1 C:\Users\klue\download
반응형
반응형

Update : 2024.05.01

Content : The method of using scp on RunPod to download or upload data.

 

Reference : https://docs.runpod.io/pods/storage/transfer-files-with-scp

 

Transfer files with SCP | RunPod Documentation

Prerequisites

docs.runpod.io

 

1. Run your pod.

2. Run terminal of your own laptop which is connected with RunPod.

3. Use the below script in your terminal.

    The first path is the file path which is wanted to download and the second path is the donwload path.

# file download
scp -P PORT_NUM -i ~/.ssh/id_ed25519 root@DOMAIN:FILE_PATH DOWNLOAD_PATH (YOUR COMPUTER PATH)

# folder download
scp -P PORT_NUM -i ~/.ssh/id_ed25519 -r root@DOMAIN:FILE_PATH DOWNLOAD_PATH (YOUR COMPUTER PATH)

# file upload
scp -P PORT_NUM -i ~/.ssh/id_ed25519 FILE_PATH (YOUR COMPUTER PATH) root@DOMAIN:DESTINATION_PATH

# example (folder download)
scp -P 13111 -i ~/.ssh/id_ed25519 -r root@123.141.122.13:/workspace/TensorRT-LLM/examples/gemma/NSYS1 C:\Users\klue\download
반응형

+ Recent posts